MZ세대라는 단어를 듣게 된 지 얼마 된 것 같지 않은데요. 요즘 잘파 세대라는 새로운 단어가 언급되기 시작했어요. 잘파 세대에 대해 알아보기 전, 요즘 핫한 스레드와 X로 브랜드 로고를 바꾼 트위터의 소식 먼저 확인하세요. 이번 주에는 구독자분들을 위한 이벤트도 준비하였으니 놓치지 말고 확인해 보세요.
👀스레드(Threads)는 인스타그램(Instagram) 사용자가 즉시 스레드 계정을 생성하여 기존 연락처를 가져올 수 있게 함으로써 새로운 온라인 커뮤니티를 만들 때 어려움을 주는 'empty party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했습니다. 그 결과 며칠 만에 총 1억 개 이상의 계정 가입을 달성했죠. 하지만 스레드의 DAU가 최고에 달했던 7월 7일 안드로이드 기준 4900만 명이었던 일일 DAU가 14일 2,360만 명으로 52% 감소했다고 해요. 스레드의 현황을 점검해 보았습니다.
💡트위터(Twitter)에서 새로운 광고 수익 공유 프로그램을 발표하였고, 실제로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크리에이터들에게 수백만 달러를 지급하기도 하였습니다. 이후 높은 수익을 내는 크리에이터를 중심으로 현재 트위터의 알고리즘에 대한 몇 가지 주요 인사이트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요. 아웃바운드 링크나 해시태그 등 크리에이터들이 공유하고 있는 인사이트 네 가지를 정리하여 소개합니다. 브랜드의 계정 운영에도 참조해 보세요.
아직 장마가 완전히 끝나지 않아 꿉꿉하고 하늘도 흐리지만 산으로 들로 바다로 휴가를 떠나는 시기입니다. 새로운 경험과 즐거운 레저를 즐기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조용한 "쉼"을 계획하고 있는 분들도 있을 거예요. 이런 분들을 위해 휴가지에서 함께 보면 좋을 만한 책을 준비했습니다.😀
마케터라면 고객들의 생각이 항상 궁금하기 마련입니다. 이런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빅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왔어요. 물론 데이터를 통해 고객의 생각을 좀 더 쉽게 알 수 있게 되었고 수요와 요구에 대응할 수 있어졌죠. 하지만 이런 데이터를 통해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선 고객이 왜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는지를 알아야 하는 딜레마에 빠지게 됩니다.
소개 드리는 책에서는 우리가 알고 싶어 하는 고객의 생각과 행동을 THICK data라는 정성적인 방법을 통해 알 수 있다고 하는데요. 이번 휴가에는 THICK data와 함께 마케터 여러분의 고객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세요. 넷플릭스, 아디다스, 레고와 같은 기업들의 사례도 있어요!
아래 이벤트 참여하기를 통해 간단히 신청해 주세요. 기한은 8월 2일(수)까지이고 추첨을 통하여 당첨자 20명을 선정하여 3일에 발표할 예정입니다. 그럼 많은 신청 부탁드립니다!
많은 마케터의 관심사였던 MZ세대가 가고 잘파세대가 왔습니다. 실제로 2023년 2월부터 네이버와 구글 등 검색엔진에서 '잘파세대'의 검색량이 늘어나기 시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Z세대와 알파세대를 합친 잘파세대가 콘텐츠를 어떻게 대하는지 알아보고 콘텐츠 마케팅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