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2B 마케터에게 중요한 채널인 링크드인(LindkedIn)에서 B2B 마케팅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를 통해 B2B 마케팅에 관한 인사이트도 얻고, 주간 마케팅 업데이트에서 준비한 가짜 뉴스 사이트 소식과 검색엔진의 역사에 관한 콘텐츠도 살펴보세요.
👀미디어 리서치 기관 NewsGuard의 6월 보고서에 따르면, AI 챗봇을 사용한 정크 웹사이트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런 웹사이들의 주 수입원이 프로그래매틱 광고라고 합니다. 주요 글로벌 브랜드들이 이런 웹사이트에 프로그래매틱 광고비를 쏟아 부음으로써 신뢰할 수 없는 인공지능 생성 뉴스 및 정보 웹사이트(UAIN, Unreliable AI-generated News & Informaiton)의 확산을 의도치 않게 지원하고 있는 셈입니다.
이전에도 '광고용' 사이트라고 불리는 저품질 콘텐츠를 게재하고 광고비를 수익으로 얻는 사이트들이 있었는데요. 생성형 AI는 이런 사이트들을 양산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들이 브랜드의 잘못은 아니지만 브랜드의 안전성을 위협할 수 있는 만큼, 프로그래매틱 광고를 게재하고 있는 브랜드라면 자세히 살펴보세요.
💡작년에 이어 올해까지 인터넷과 웹 검색의 탄생에 비견할 엄청난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생성형 AI 경쟁에 관한 이야기인데요. 많은 기업들이 치열하게 새로운 기술을 발표하며 경쟁하고 있습니다. 이에 웹 검색의 초창기 역사부터 현재까지를 살펴보는 콘텐츠를 준비했습니다. 별로 멀지는 않지만 역사에서 배울 것이 있는지, 이 경쟁이 마무리될 때쯤 세상이 어떻게 변해 있고 승자가 누가 될지 생각해 보세요.
두 번째 설문조사 주제였던 "마케터에게 사이드프로젝트란?" 의 주제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다양한 매체들에서 그동안 N잡 또는 사이드프로젝트에 대한 유행을 소개하였어요. 그래서 많은 마케터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고 실제로도 다양한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고 있지 않을까 하였는데요.
실제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해보았다고 답변한 분들은 56%로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이 실제로 해보았다고 답변하였습니다. 다양한 목적으로 사이드 프로젝트에 도전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과는 달리 직장인에게 가장 중요한 돈(💰)이 주된 목적이었어요. 실제로 다양한 금액의 수익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꼭 돈을 목적으로 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도전이나 취미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고 있는 분들도 있었고, 본업과 관련 없는 일을 하고 있는 응답자분들도 있었어요. 그만큼 다양한 이유들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고 있거나 하고 싶어 하는 마케터분들이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혹시 아직 망설이고 있다면 쉬운 일부터 한 번 도전해 보세요!
그럼 8월에는 새로운 주제를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
혹시 콘텐타 뉴스레터에서 설문해 주었으면 하는 궁금한 질문이 있다면 아래 버튼을 누르고 저희에게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