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마케팅을 준비하고 있다면 어떤 콘텐츠 포맷을 사용해야 할지 고민이 될 텐데요. 사례와 함께 소개하는 15가지 콘텐츠 포맷을 통해 알아보세요. 그리고 CMI에서 발표한 수요 창출에 관한 리포트도 함께 살펴보세요.
💡CMI(Content Marketing Insititute)에서 B2B 기업의 수요 창출을 위한 마케팅 활동에 관한 'The Struggle to Generate Demand from Buyers' 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B2B 마케터들은 2022년까지 퍼널 상단의 브랜드 인지도 및 수요 창출을 위한 마케팅에 집중했다면, 올해는 파이프라인 성장과 리드 관리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마케팅 방향을 전환하였습니다. 동시에 수요 창출에 성공했다고 느끼는 마케터도 줄어들었죠.
다만, 여전히 수요 창출을 위한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는데요. 다양한 마케팅 방법 중 콘텐츠 마케팅이 가장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3가지 중 하나로 꼽았습니다. 콘텐츠의 유형으로는 블로그가 가장 많았고, 영상과 사례 연구가 그 뒤를 이었는데요. CMI의 조사 결과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콘텐츠 마케팅에는 다양한 포맷의 콘텐츠가 사용됩니다. SEO의 기본이 되는 블로그 콘텐츠부터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의 소셜미디어 콘텐츠, 이북 등 다양한 콘텐츠가 있을 텐데요. 콘텐츠 마케팅을 통해 브랜드의 목표를 잘 이루기 위해서는 적절한 콘텐츠 포맷의 선택이 필요할 겁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콘텐타에서 소개했던 콘텐츠 포맷 외에도 다양한 콘텐츠의 포맷을 모아 간단한 사례와 함께 소개하고 있는데요. 각각의 포맷에 대해 잘 알아보고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성공적인 콘텐츠 마케팅을 준비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