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미디어를 잘 활용하기 위해 어떤 플랫폼이 우리 기업의 마케팅에 적합한지 고민이 많을 텐데요. 이런 고민을 도와줄 소셜 미디어의 인구 통계에 관한 이야기/정보를 준비했습니다. 그리고 틱톡, 인스타그램에 대한 소식도 소개합니다. 지난주부터 진행하고 있는 콘텐츠 마케팅 트렌드 서베이와 이벤트도 계속되니 놓치지 마세요!
👀 틱톡(TikTok)이 새로운 이커머스 플랫폼인 TikTok Shop을 공식 출시한 지 아직 1개월이 채 되지 않았지만 직접 제품을 판매하려는 크리에이터들의 가입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타 웹사이트나 아마존 등의 다른 마켓플레이스로 연결해야 했던 기존과는 달리 틱톡 내에서 바로 구매가 가능해 졌다는 점 때문이죠. 크리에이터와 판매자를 연결하는 제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기도 하니 이커머스 분야에서 틱톡의 영향력이 얼마나 커질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최근 사용자의 검색 결과에 광고가 표시되도록 하는 검색 광고 토글 기능을 발표하였습니다. 스폰서 콘텐츠로 표시되는 이번 광고는 사용자 의도, 관련성, 다른 사용자들의 행동 등을 토대로 광범위한 학습을 거쳐 검색 결과를 노출한다고 합니다. 틱톡의 사용자에 관한 통계자료도 준비했으니 2024년 마케팅 계획을 세우고 있다면 함께 살펴보세요.
📌 그동안 인스타그램(Instagram) 릴스에 올라가는 영상은 숏폼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3분 이내의 제한된 길이의 영상만 올릴 수 있었는데요. 이제 인스타그램에서도 10분짜리 긴 동영상의 업로드가 가능해질 수도 있다고 합니다. 2022년 틱톡이 업로드 가능 영상의 길이를 3분에서 10분까지 늘렸던 것처럼, 인스타그램도 같은 변화를 예고하였습니다. 지금 당장 이러한 변화가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광고에 활용하고 있는 마케터라면 관심을 가져야겠습니다.
올 한해의 콘텐츠 마케팅을 스스로 진단해 볼 수 있는 기회, 콘텐츠 마케팅 트렌드 서베이에 참여하세요. 콘텐츠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도 먼저 받아 보고, 마케팅에 도움이 되는 <노션 Notion 라이프>, <디지털 비주얼 띵킹>과 커피 쿠폰도 받아 가세요!
오늘날 마케팅에서 소셜 미디어(SNS)는 빼놓을 수 없는 수단이 되었습니다. 폭넓은 타깃을 대상으로 접근할 수 있고,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할 수 있는 기회도 무궁무진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모든 마케팅 채널이 그러하듯 소셜미디어 플랫폼마다 주 이용자층이 다르게 나타나며, 이를 잘 파악하는 일이 중요합니다.
이런 주 이용자, 즉 타깃 오디언스를 전확히 분석하는 일은 마케팅을 계획하기 위한 기본 중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우리가 원하는 타깃 오디언스에게 효과적으로 접근하고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 인구 통계를 활용하는 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우리 회사에 더 알맞은 플랫폼이 어디인지 고민이라면 자세히 살펴보세요.
마케터분들께 질문하는 네 번째 주제는 "마케터에게 커리어란?"입니다. 이번 질문에는 구독자님의 의견과 저희의 궁금증을 함께 담아 보았습니다.
마케터는 참 다양한 백그라운드를 가진 사람들이 모인 직무라는 생각이 많이 드는데요. 그렇다면 얼마나 많은 분이 마케터가 아닌 다양한 직무를 거쳐왔는지, 그리고 더 나은 마케터가 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 알려주세요. 마케터에게 큰 관심을 받았던 AI가 마케터라는 직업에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도 궁금합니다!